생명공학79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꿈에 대하여] [꿈의 해석] 프로이트는 1899년 9월에 이 책의 집필을 끝냈다. 글이 막혔을 때도 있었지만 순조롭게 잘 풀리던 순간도 있었는데, 1899년 8월에는 불과 2주 만에 꿈의 심리학에 대한 유명한 7장을 써냈다. 그 책음 1899년 11월 4일에 출간되었지만 발행인은 발간일을 1900년으로 늦추었다. 프로이트는 이 책의 출간에 많은 기대를 걸었고, 특히 자신의 발견이 어떤 가치를 인정받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초판 600부가 팔리기전까지는 8년이 걸렸다. 그러나 책은 점차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그가 생애 마지막 날까지 가장 강한 흥미를 보인 것들 중 하나는 꿈에 대한 연구였다. 이 책은 1930년에 마지막 판이 나올 때까지 그의 일생을 두고 출판되었는데, 독일어로 8번의 중보판이 나오는 과정에서 프로이트는 .. 2022. 6. 5. 히스테리증상: 심리적 에너지의 신체적 전환 [방어 신경-정신증]에서 프로이트는 히스테리를 모델로 삼아, 히스테리 증상의 주 원인으로 간주된 해리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만족했던 전임자들보다 더욱 나아갔다. 이러한 상태는 자네는 "의식이 분열"로, 브로이어는 "최면 상태"라고 불렀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가설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의식의 분열이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의도적 행동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달리 말해 이 같은 의식의 내용의 분열은 "의도적 노력"에 의해 시작된다고 제시한다. 히스테리 분열은 이제까지 "양호한 정신 건강을 누려왔던" 사람들에게서, 그들의 "잊기로 작정한" "심히 고통스러운 정동"을 일으키는 견디기 힘든 표상들을 다뤄야 할 때마다 일어날 수 있다. "주체는 그것을 잊기로 작정하는데, 그는 양립할 수 없는 생각과 자.. 2022. 6. 4. 현대의 과학적 모델들과 정신분석 "구상"이 나온 지 100년이 지난 오늘날, 정신분석가들이 20세기 말의 과학적 모델을 사용하면서 1895년에 프로이트가 채택했던 접근법을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현대 정신분석가들의 일부는 비로 이러한 것을 시도해왔다. 그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마크 솜즈는 신경심리학자와 정신분석가로서의 훈련을 모두 받았다. 그러므로 그는 특히 정신분석과 신경과학 간의 상관관계를 세밀히 검토하는 데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 그의 연구는 정신분석을 도구로 사용하여 신경해부학적 병인이 있는 환자를 탐구하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에게 있어 정신 현상들은 뇌의 해부학적 구조들의 연결망 속에 위치한 기능 체계와 관련이 있다. 대단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솜즈의 작업은 신경해부학적 모델을 시리학적 모델보다 우위에 두지 않는.. 2022. 6. 3. 프로이트의 자기분석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발견 1896년에 아버지가 죽은 후, 프로이트는 대략 1896년부터 1899년까지 지속되었던 자기 자신의 정신분석에 착수하였다. 그의 "자기-분석"- 그가 플리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불렀던 것처럼 - 은 대부분 자신의 꿈들을 토대로 하고 있는데, 이 덕분에 그는 정신적인 삶에서 꿈이 하는 역할뿐 성욕이 자신의 아동기에 미치는 중요성에 대해서도 깨닫을 수 있었다. 나중에 (두 살에서 두 살 반 사이에) 엄마를 향한 나의 리비도가 깨어났습니다. 즉 엄마와 함께 라이프치히에서 비엔나로 여행하는 동안 우리는 밤을 같이 보낼 것이고, 그러면 틀림 없이 엄마의 벗은 몸을 볼 기회가 있을 것이었지요(1887-1904) 그는 같은 편지(1897년 10월 3일-4일자)에서 계속해서 말한다. "나는 한 살 아래 남동생(몇 달 .. 2022. 6. 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