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79 프로이트의 초기 연구들과 자기-분석에 대한 증언 언뜬 보면 플리스에게 보내는 프로이트의 편지들은 그리 중요해 보이지 않으나 이미 프로이트의 사고에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중요한 정보의 보고이다. 우리는 히스테리, 신경-정신증, 편집증, 우울증에 대한 그의 생각이 싹트고 있는 것을 본다. 그가 다루고자 했던 일상적인 문제, 환자들에게 해 주었던 말, 그가 씨름했던 가족 내의 문제들을 하나씩 따라가다 보면, 우리는 갑자기 결정적이었던 직관의 순간들 - 예를 들면 오이디푸스 갈등에 관해 최초로 언급했을 때 - 과 만난다. 나는 독자들이 이 편지들을 자기 나름대로 받아들이기를 진심으로 바라지만, 세 번의 결정적인 순간들은 지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그것은 프로이트가 유혹 환상의 영향을 발견했을 때, 자기-분석에서 직관적으로 오이디푸스 콤.. 2022. 6. 1.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치료" 최면에서 자유연상으로 > 프로이트는 자신의 임상 경험에서 출발하면서 어떻게 카타르시스 기법을 수정해가게 되었는지, 그리고 브로이어의 치료법의 이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하면서, 그것과는 다른 혁신적 치료법을 어떻게 채택하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상당히 중요한 이 장에서, 프로이트가 이미 계략적으로 묘사된 구성 원칙들이 어떻게 정신분석적 방법이 되는지 자세하게 정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895년에 쓰인 이 논문에서 무의식, 저항, 방어 기제, 전어 등과 같은 새로운 개념들이 발견된다. 이 장을 시작하면서 프로이트는 카타르시스 요법을 시행하기 어려운 한계에 봉착하여 병인적 기억을 회상하도록 촉진하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들을 찾기에 이르렀으며, 이런 새로운 기법을 탐구하면서 곧 이전 방법을 대체하게 되었다는.. 2022. 5. 31. 히스테리 증상은 의미가 있다 우리는 모든 정신분석학의 토대가 된 [히스테리 연구]에서부터 시작할 것이다. [히스테리 연구]에서 프로이트와 브로이어는 그들이 히스테리 증상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성공에서 이끌어낸 최초의 가설들을 소개하고 있다. 19세기 말엽 히스테리는 매우 흔한 장애였지만 그 고통의 원인이 신체적인 것인지 심리적인 것인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었다. 의사들은 이 병의 실제 원인을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에 매우 곤란해 하고 있었다. 히스테리성 전환 증상은 의학에 대한 부인할 수 없는 도전이었다. 히스테리 증상들은 이제까지 확인된 어떤 해부학적 손상과도 일치하지 않은 데다 그 증상이 아무 때나 나타났다 사라지곤 했기 때문에 의사들은 때로 이렇게 극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대부분.. 2022. 5. 30. 세포분열은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중요한 많은 일을 한다. 생물이 무생물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생물은 자기와 같은 종류의 개체를 번식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아메바만이 아메바를 만들고 사람만이 사람을 만들며, 단풍나무만이 단풍나무를 자손으로 남긴다. 이런 현상은 이미 수천 년 전에 알려진 단순한 사실로서 한마디로 "부전자전"이란 말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생식의 생물학적 개념은 새로운 개체의 탄생보다 더 많은 것을 포함한다. 생식은 세포 수준에서 훨씬 더 자주 일어난다. 세포가 생식 혹은 세포분열(cell division)을 할 때 만들어지는 두개의 '딸세포'들은 유전적으로 서로 동일하며 원래의 '부모'와도 동일하다. (생물학자들은 본문에서 딸세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성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부모세포는 두 개로 나뉘기 전에 먼저.. 2022. 5. 2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