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79 21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으면 다운증후군이 생긴다. 감수분열에 오류가 있으면 비정상적인 수의 염색체를 갖거나 염색체의 구조에 중대한 변화가 생긴 비정상적인 배우자가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배우자가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배우자들이 수정되면 염색체 이상(abnormality)을 가진 개체가 나오게 된다. 염색체 이상은 핵형(karyotype)을 이용해 쉽게 알아낼 수 있는데, 핵형은 개체가 가진 염색체들을 확대하여 얻은 상을 큰 것부터 순서대로 쌍으로 배열한 것이다. 핵형은 체세포분열 중기에 보이는 것과 같은 응축되고 복제된 형태의 염색체를 보여준다. 핵형을 만들기 위해 의과학자들은 백혈구의 한 종류인 림프구를 이용한다. 우선 혈액을 채취한 후 체세포분열을 촉진하는 화학물질로 처리한다. 세포를 수일간 배양한 다음, 체세포분열을 .. 2022. 5. 14. 광합성은 지구온난화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지구의 생명체는 빛으로부터 궁극적인 에너지를 얻는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대부분의 생물계는 광합성이라는 식량합성기구에 의존해서 살고 있다. CO2로부터 당을 합성하게 된 것은 광합성이 두 단계로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엽록체의 구조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생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광합성에서 만들어진 탄수화룸ㄹ의 약 50%가 식물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호흡의 연료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당 분자는 식물단백질이나 지질 같은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 된다. 또한 포도당 분자가 서로 연결되어 식물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인 셀룰로오스(cellulose)를 만든다. 셀룰로오스는 식물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유기 분자이며, 아마 지구상에서도 가장 많을 것이다. 대부분의 .. 2022. 5. 14. 방사성 동위원소는 우리에게 유익할 수도 있고 해가 될 수도 있다. 각 원소는 다른 원소의 원자와는 다른 한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원자(atom)라는 이름은 '나눌 수 없는'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특정 원소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원소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이 문장의 마지막에 찍혀 있는 마침표를 만들기 위해 수백만 개가 필요하다. 이원자 입자 : 물리학자들은 원자를 다시 100여 종의 이원자 입자로 세분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단지 세 종류를 띠고 있는 입자만을 다룰 것이다. 양성자(protom)는 하나의 양전하(+)를 띠고있는 아원자 입자이다. 전자(electron)는 하나의 음전하(-)를 띠고 있는 이원자 입자이다. 중성자(neutron)는 이름이 의미하는 것과 같이 전기적으로 중성이다(전하를 띠지 않는다) 원자번.. 2022. 5. 14. 이전 1 ···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