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공학

성장호르몬이란?

by 건강한집수니 2022. 6. 27.

성장호르몬은 성장호르몬 부족을 가져오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처방이되어 왔다. 성장호르몬은 AIDS와 암의 특징인 체중 감소와 일반적인 신체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약간의 성공을 거두면서) 많은 선수들은 성장호르몬에는 지방을 산화시키고 근육을 강화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지구력, 근력, 근육량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믿으면서 성장호르몬을 불법적으로 사용한다. 그렇지만 1992.1993 연구결과는 이러한 믿음을 부인하며 성장호르몬 사용과 연관된 경기력 또는 근력 효과가 없음을 시사했다. 최근에 성장호르몬은 항노화  특성과 관련해서 대중매체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실질적인  "회춘제" 또는 "젊은의 샘물" 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수백 개의 노화전문 진료소가 문을 열었으며 노화과정(근육위축,가늘어지는 뼈, 체지방량 증가, 활력 상실)을 뒤바꾸고 시간을 되돌리는 기적같은 방법을 찾고 있는 수천 명의 노인들에게 성장호르몬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의 약물 판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IMS health에 따르면 성잦ㅇ호르몬 처방은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 6,000건에서 21,000건으로 3배이상 증가하였다. 건강한 성인의 성장호르몬 수준은 25세 이후에 10년 마다 약 15%의 감소율을 보인다. 60세가 되면 75% 또는 그 이상의 감소가 드문 일이 아니며 80세가 되면 성장호르몬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수준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흔하다. 이 같은 결과는 과학자들로 하여금 성장호르몬이 노화와 함게 일어나는 신체 쇠약의 핵심 원인이 아닌지를 조사하도록 만들었다. 건강한 노인 (평균 연령 75세)을 대상으로 6개월간 진행된 연구에서 성장호르몬 사용은 신체조성에서 약간의 향상(지방량 감소, 제지방량 증가)을 보여주었지만 근력, 지구력, 또는 인지 기능은 증가하지 않았다. 그 후  2002년에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가장 대규모로 그리고 가장 면밀히 설계된 성장호르몬 연구 한 편이 와료되었다. 26주 동안 65세에서 88세의 남녀 131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연구자들은 성장호르몬이 제지방량을 증가시키고 지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노인의 신체를 현저하게 바꿀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가장 놀라운 결과는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을 함께 사용한 남성에게서 나타났다. 이 집단의 남자들에게서는 제지방량이 거의 4.5kg이나 증가하였으며, 거의 같은 양의 지방이 감소하였다. 근력과 최대산소섭취량 증가는 남자들에게서 미미하였으며, 여자들은 근력이나 심혈관계 지구력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치료기간이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더라면 근력에서 더웅ㄱ 현저한 증가가 일어났을 가능성도 있다. 얻어진 효과는 피험자의 24~46%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부작용과 함께 나타났다고 연구자들은 경고한다. 부작용으로는 혈압 증가, 발의 부종, 관절 통증, 손목굴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연구에서는 많은 피험자들을 괴롭혔던 관절 통증은 약물이 사용이 된다면 관절염으로 발전될 거라는 우려가 있다. 그 밖에도, 성장호르몬을 처방받았던 남자들의 절반은 글루코스 처리 능력 저하를 경험하였으며 당뇨병 또는 인슐린 저항성 상태가 나타났다. 성장호르몬의 모든 부작용은 남녀 피험자들이 약물 사용을 중단했을 때 사라졌다. 하지만 부작용은 보편적이었으므로 노인들에게서의 성장호르몬 사용이 조심스러워야 한다. 성장호르몬의 잠재적인 동화작용은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약물이 되도록 만들었다. 성장호르몬은 1989년 IOC의 금지약물 목록에 추가 되었다. 하지만 스포츠에서의 성장호르몬 사용은 이 같은 호르몬의 사용을 찾아내는 실질적인 방법이 최근까지도 없다는 사실에 의해 조장되어 왔다. 인쇄 매체와 인터넷 광고는 성장호르몬의 사용을 홍보하고 있다. 판매되는 많은 제품은 실제로는 성장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성장호르몬 농도의 지속적인 증가를 가져오지 않는다. 여러 웹사이트에서 다양한 경구용 그리고 흡입용 성장호르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성장호르몬 분자 자체가 너무 크기 때문에 혈류 속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주사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제품의 어느 것도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3) 성장호르몬 농도의 만성적인 상승은 힘든 신체활동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대사적 변화를 초래하며 경기력을 감소시킨다는 증거가 있디. 이러한 대사적 변화는 심장 불안정, 고혈압, 인슐린저항성, 그리고 아마 제2형 당뇨병 발병 같은 여러가지 유해한 부작용과 연관이 있다. 이 같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선수들은 계속해서 성장호르몬을 주사하고 있다. 성장호르몬의 지방분해 작용은 피하지방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것은 근력에서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성장호르몬을 사용하도록 만든다. 근육 발달에서의 성장호르몬의 외적인 효과는 선수와 노인들이 거의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또는 불확실한 효과를 위해 자신들을 질병의 위험에 빠뜨리도록 유혹한다.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이데올로기의 개념  (0) 2022.06.28
스테로이드란?  (0) 2022.06.27
골다공증의 원인과 치료법  (0) 2022.06.25
당뇨병의 합병증은?  (0) 2022.06.24
제2형 당뇨병의 치료법  (0) 2022.06.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