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공학

당뇨병의 합병증은?

by 건강한집수니 2022. 6. 24.

당뇨병은 가장 잠행성인 질병 중의 하나다. 합병증은 다른 심각한 질병이 발생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질병은 아래의 내용에 묘사되어 있다. 합병증의 심각성 정도는 가벼운 저혈당증부터 심혈관계 질환까지 다양하며, 매일 점검하지 않고 적절히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사지 절단 그리고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몇 가지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 미세혈관 손상 :  미세혈관 질환의 세 가지 주요 부위는 당뇨병과 연관되어 있다. 

- 망막병증은 눈의 혈관 손상으로 인한 시력의 약화 또는 상실이다. 망막증은 제1형 당뇨환자 실명 원인의 86% 그리고 제2당뇨환자 실명 원인의 33%를 차지한다. 새로이 발생하는 모든 성인 실명 환자의 12%는 당뇨병에 의해 초래된다. 

- 신경병증은 신경계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 손상과 발의 문제로 주로 나타난다. 당뇨환자 가운데 40~50%가 신경쟁아로 영향을 받는다. 신경장애로부터 초래되는 하지의 혈액 순환 저하 때문에 당뇨병이 없는 사람들보다 당뇨환자들에게서 하지 절단이 11배 더 많다. 

-신장병증은 신장의 혈관 손상으로 인한 신장의 질병이다. 노인 당뇨환자의 12%가 신장의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다. 신장병증인 당뇨병이 있는 사람의 질병과 조기 사망의 주된 원인이며 북미에서의 말기 신부전의 첫 번째 원인이다. 

 

대혈관 손상 : 당뇨병과 관련된 두 가지의 주요 대혈관 문제를 가져온다. 

- 심장의 문제. 심장병, 고혈압 및 뇌졸중의 위험은 남성에게서 2배 그리고 여성에게서 3~4배 증가한다. 

-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노인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기타 합병증. 당뇨병은 다음을 포함해서 많은 다른 생리적 문제를 가져온다.

- 감염, 혈당 수준이 관찰되고 통제되지 않는다면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감염(입, 잇몸, 요로, 하지, 수술 후의 절개)에 더 취약하다. 심지어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져 왔더라도 오래된 당뇨병은 하지 절단을 초래할 수 있다.

- 발기부전, 당뇨병이 있는 남자들 중에서 50~60%는 발기부전을 경험한다.

- 산모와 태아 모두엥게서 나이가 많아진 후에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할 가능성 증가,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한 여성에게서 이러한 일이 일어난다. 

 

●운동 프로그램 권고사항

운동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당뇨환자에게 그 첫 번째 단계는 항상 의사와, 가능하다면 당뇨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라고 알려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병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의 가능성 때문에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안전을 위해 운동 파트너가 있어야 한다. 운동 프로그램의 규칙성은 다른 사람들이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다를 필요가 없다. 운동은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므로 운동의 형태, 빈도, 그리고 지속시간은 당뇨병을 고려하면서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노인을 위한 운동 원리를 파악해서 당뇨병이 있는 사람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변경시킨다. 서서히 시작하고, 운동 전과 후에 혈당을 측정하며,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원리를 지켜야 한다는 것을 기억할것, 이러한 것들은 당뇨환자에게 중요하다. 혈당 농도를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한다. 운동을 하지 말아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의사의 조언에 따라

- 통증이 있거나 몸이 안좋다고 느낄 때

- 혈당 수준이 너무 낮을 때

- 조절이 제대로 안 되고 혈당 수준이 16mmol/L를 초과할 때

- 소변에 케톤이 있을 때

- 나쁜 기상 상태(즉 덥거나 추울 때, 습도가 과할 때, 혹은 대기오염 경보 상황)

 

우리는 늙으면서 삶의 질을 즐기는 데 도움이 되도록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건강한 음식 섭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노인에게 중요한 특정 영양소가 설명되었다. 여러가지 문제와 질병의 개선에 대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긍정적 효과도 다루었다. 건강한 음식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한다면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이 핵심적인 내용이다.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호르몬이란?  (0) 2022.06.27
골다공증의 원인과 치료법  (0) 2022.06.25
제2형 당뇨병의 치료법  (0) 2022.06.23
당뇨병이란?  (0) 2022.06.22
알츠하이머 (치매)  (0) 2022.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