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9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연속 단계에서의 발견 프로이트는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초판(1905)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응ㄴ 개념에 대한 설명이 없으며, 나중에 개정판에 가서야 추가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지금 여기서는 이러한 발달의 주요 단계들을 대략적으로 기술하겠다. 그 개념 자체는 프로이트의 모든 저술을 통해 점차적으로 작업되었고, 하나의 논문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전체를 다루고 있는 것은 없다. 그것은 프로이트의 가장 탁월한 발견들 중의 하나였다. 아동의 발달 과정 중에 출현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정신적 삶의 중심적 조직자가 되며, 그것을 중심으로 개인의 성 정체성이 구조화 된다. 프로이트에게 있어 그 콤플렉스는 보편적인 것이며, 세 편의 에세이에서 그가 밝힌 것처럼, "지구상에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누구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2022. 6. 10. 프로이트의 첫 번째 에세이 : 성적 이상 성도착의 유아적 기원에서 첫 번째 에세이에서 프로이트는 동성애와 같은 성도착이 타고난 성격이나 퇴화의 결과라는, 당시 과학계에 널리 퍼져 있는 믿음과 대중적인 의견에 대해 비판한다. 그는 참된 원인은 개인의 아동기에서 발견되어야 한다고, 다시 말해 그것은 심리성적 발달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프로이트는 크래프트 에빙과 하브록 엘리스와 같이 당시의 성 이론가가 분류한 성적 일탈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그것을 전적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소위 "정상적인" 성욕이라는 수용된 규범과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능욕동"과 "대상" 개념 - 후에 정신분석에서 결정적인 것으로 입증된 개념- 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토대로, 프로이트는 성도착의 범주를 구분한다. 그는 "성적 대상과 관련된 일탈"과 "성적 목표와 .. 2022. 6. 9. 프로이트의 꿈, 착오, 농담 사이의 유사성 프로이트가 보내 준 [꿈의 해석] 교정쇄를 읽고 단어들의 유희가 꿈에 나타나는 반복적인 특징이라는 것을 그가 발견했기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다시 그에게 "꿈들은 모두 똑같이 밉살맞을 정도로 재치가 넘친다. 꿈들은 압력을 받고 있고 직접적인 길이 봉쇄되어 있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다 [...] 표면상 위트로 나타나는 모든 무의식적 과정은 농담과 희극에 대한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썼다 (플리스에게 보내는 편지)1899년 9월 [히스테리 연구]에서 프로이트는 세실리 양의 꿈에 나타난 상징화와 다중의미의 역할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였으며, [꿈의 해석]에서는 상당히 많은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1898년에 출간한 테오도르 립스의 [희극과 유무] 역시 프로이트가 이 주제에 관해 책을 쓰기로 마음먹는.. 2022. 6. 8. 프로이트의 착오행위와 전이 관계 망각, 실언 그리고 다른 형태의 착오행위들은 단지 정상적인 일상생활에 속하는 표현들인가, 아니면 실제로 신경증 환자의 정신분석 치료와 관련된 어떤 것을 갖고 있는 것인가? 결론에서 프로이트는 착오행위와 신경증적 기원을 가진 장애들 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는 정신분석 상황에서 그것들을 어떻게 해석할지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가 착오행위와 아래에 놓은 기제들과 꿈 형성의 기제들간에 유사성이 있다고 지적한 것은 비록 간접적이지만 그 문제에 접근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프로이트는 착오행위들이 억압된 무의식적 소망에 대한 표현이며 분석 작업은 잠재된 의미를 밝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꿈과 증상들을 해석하느 ㄴ것처럼 전이에서 착오행위들을 분석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현.. 2022. 6. 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