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는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초판(1905)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응ㄴ 개념에 대한 설명이 없으며, 나중에 개정판에 가서야 추가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지금 여기서는 이러한 발달의 주요 단계들을 대략적으로 기술하겠다. 그 개념 자체는 프로이트의 모든 저술을 통해 점차적으로 작업되었고, 하나의 논문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전체를 다루고 있는 것은 없다. 그것은 프로이트의 가장 탁월한 발견들 중의 하나였다. 아동의 발달 과정 중에 출현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정신적 삶의 중심적 조직자가 되며, 그것을 중심으로 개인의 성 정체성이 구조화 된다. 프로이트에게 있어 그 콤플렉스는 보편적인 것이며, 세 편의 에세이에서 그가 밝힌 것처럼, "지구상에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누구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정상적인 발달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또한 "신경증의 핵심 개념"을 형성하면서 정신병리의 중심부에 놓여 있다.
프로이트가 아이로서 자신이 느꼈던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질투를 깨닫게 된 것은 자기-분석 과정에서였다. 그는 자신의 감정 안에 있는 이러한 갈등을 오이디푸스 신화와 연결시켰다. 나는 나 역시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질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이제 그것이 초기 아동기에서 보편적이라고 생각한다. [...] 그렇다면 우리는 오이디푸스 왕이 권력을 장악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는 [꿈의 해석]에서 같은 주제를 다시 한 번 꺼낸다. "자신의 아버지인 라이오스를 살해하고 어머니인 이오카스테와 결혼한 오이디푸스 왕은 단지 우리 아동기의 소망 충족을 보여준것에 지나치 않는다"그 다음 몇 년에 걸쳐 프로이트는, 1905년의 "도라" 사례 그리고 1909년의 "어린 한스"사례에서 보듯이, 임상 작업에서 끊임없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생각을 거론한다. 그러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개념은 1910년, "남성들의 대상선택 중 특이한 유형"에서 비로소 처음 출현하는데 "콤플렉스"라는 용어는 융에게서 빌려온 것이다.
처음에 프로이트는 단순한 형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발견하였고 그것이 어린 소년의 심리성적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묘사하였다. 소년의 최초 애정 대상은 어머니이며, 그는 어머니를 독점적으로 소유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3살부터 5살 사이에 어머니에 대한 그의 사랑은 아버지와 경쟁하게 만들고, 그는 아버지를 미워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그는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 소망과 아버지에 대한 증오 때문에 아버지가 자신을 거세-페니스를 박탈 - 할 것이라고 두려워한다. 거세 위협이 불러일으키는 불안으로 인해, 소년은 결국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성적 소망의 충족을 포기하고 잠재기로 들어간다. 처음에 프로이트는 소년과 소녀의 성적 발달과 관련해 완전한 대칭이 있을 것으로, 즉 소년이 어머니와 사랑에 빠지고 아버지를 미워하기 시작하는 것처럼 소녀는 아버지와 사랑에 빠지고 어머니를 미워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중에 그는 소녀의 발달적 궤도는 소년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1913년 [토템과 타부]에서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보편적 성질, 그리고 특히 모든 인간의 성격 발달에 있어 그것이 구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했다. 그는 특히 모든 인간의 성격 발달에 있어 그것이 구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했다. 그는 아버지가 소유하고 있는 여자들을 갖고 싶어 하는 아들들이 아버지를 살해한다는, 원시 유목민에 대한 가설을 통해 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 최초의 범죄는 세대에서 세대로 계통발생을 통해 전해 내려오며, 이러한 최초의 살인과 관련된 죄책감은 우리 각자에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나 프로이트 (1895~1982) (0) | 2022.06.13 |
---|---|
칼 구스타프 융(1875~1961) (0) | 2022.06.11 |
프로이트의 첫 번째 에세이 : 성적 이상 (0) | 2022.06.09 |
프로이트의 꿈, 착오, 농담 사이의 유사성 (0) | 2022.06.08 |
프로이트의 착오행위와 전이 관계 (0) | 2022.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