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ph와 Cutler(1994)는 노화의 엄청난 복잡성의 근원적인 이유는 일차적 노화 과정 때문이라고 가정하였다 : 세포가 적절히 분화된 상태로부터 이탈하는 것. 이것은 고도로 분화된 세포의 조절적 변화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 되고 있다. 중요한 조절 계통에서의 악화분화된 세포는 생명체 전체에 걸쳐 많은 변화가 시작되도록 만든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가 노화 과정이다. 현재의 노화 이론들 중에서의 독특함 그리고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하는 주장 등을 포함해서 DHAC에 관한 여러 쟁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DHAC는 유전자에 근거한 그 밖의 다른 모형과는 세 가지 핵심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다. (1)DHAC 모형은 유전자 자체의 커다란 변화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유전자에서의 커다란 변화로 초래되는 필수적인 기능의 커다란 장애는 일어나지 않는다. (2) 유전자 돌연변이가 아니라 조절에서의 변화가 악화분화로 유도한다(세포에 있는 대부분의 DNA는 유전자 조절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돌연변이 원에 노출된 가능성은 더 크다) (3) 세포의 기본 기능을 책임지는 유전자를 변경시키기에는 불충분하지만 고도로 분화된 세포의 특정 유전자를 변경시키기에는 충분한 아주 조그마한 변화가 유전 장치에서 일어난다.
-DHAC 이론은 세포의 분화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안정화 기전이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한 기전은 수명이 긴 종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포유류에서는 비슷하다고 생각되었다. 종의 차이는 질적인 것보다 양적인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항산화 능력과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인간에 있어 뇌하수체, 시상하부, 그리고 두뇌의 다른 조절 부위는 고도로 분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조그마한 변화는 이러한 부위에 의존하는 생명체에 커다란 기능적 변화(결함)를 가져올 것이다. DHAC 이론은 노화와 암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기전을 제의한다: 세포의 악화분화. 악화분화 상태와 일치하는 속성으로는 단백질 이물질 합성, 세포분열에서의 정상적인 조절 요소에 대한 민감성 상실, 동종효소 형태의 변경, 세포막 특성에서의 변화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노화는 화생세포뿐만 아니라 세포막, 단백질, 면역반응의 변화도 보여준다.
-DHAC를 옹호하는 주장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포함하고 있다 : 늙은 세포에서 악화분화의 경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 주며, 화생세포가 관찰되었고, 세포막의 구성과 특성이 바뀌어졌고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관찰되었으며, 자가면역 현상의 나이-의 존적 증가가 발견되었다.
오래된 가설인 칼로리 제한 가설이 최근에 다시 부상하였으며 힘을 얻고 있는 듯하다. 이 가설이 충분한 양의 확실한 과학적 증거로 뒷받침 된다면 이것 역시 이론이 될 수도 있다. 칼로리제한이 실험동물에게서 수명 연장을 가져온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인간의 경우에는 일화적인 사례를 통해 암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는 기전 또는 기전들을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가설을 받아들이기 전에 추가적인 설명과 철저한 과학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나이가 많아지면서 건강관리 체계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된다. 노인은 북미 인구의 약 12%를 차지하지만 전체 건강관리 비용의 거의 30%가 이들에게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넘어짐으로 인한 부상만으로도 1년에 수십억 달러가 소요된다. 65세 이상인 사람의 1/4이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인해 자신들의 신체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집에서 살고 있는 노인 5명 중에서 약 4명이 최소한 하나의 만성적 건강상태로부터 고통을 받는다. 대부분의 노인(84%)은 최소한 한 가지 약물을 규칙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노인학 연구에서의 주안점이 수명 연장에서부터 건강 수명의 증가, 즉 질병률 감소로 바뀐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심혈관계 및 근육 체력은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데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제는 수많은 단체들에서 모든 연령층이 건강과 안녕을 위한 신체활동의 유익함을 홍보하고 있다.중년과 젊은 노인에게서의 체력은 최대 운동능력을 유지하고 조기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노인에게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늙은 노인에게서는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와 관련한 신체적 변화 (0) | 2022.06.17 |
---|---|
생리적 시스템, 신체의 여러 심혈관계 기관(심장과 호흡계) (0) | 2022.06.16 |
노화 과정과 노화의 항상성 (0) | 2022.06.14 |
안나 프로이트 (1895~1982) (0) | 2022.06.13 |
칼 구스타프 융(1875~1961) (0) | 2022.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