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 인간의 음식에 근본이라는 면은 변함없지만 식물성 음식을 얻는 방법은 크게 변화되었다. 초기 인류는 주변에 있는 섭취 가능한 시물종을 이용하며 오늘날 수렵 채집인들이 하듯이 계절에 따라 다른 식물을 먹었을 것이다. 농업이 발달하면서 지구성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맛이 좋고 경작이 쉬운 종을 토착화하여 길러왔고 세대를 거치면서 인위적 선택을 통해 차츰 생산량을 늘려왔다. 현대적 농업에서는 식물육종기술을 통해 가장 우수한 특성을 지닌 소수의 유전자형을 만듦으로써 식용 식물의 다양성을 좁혀왔다. 이제는 세계 인구의 대부분이 특별한 경작기술을 요구하는 벼, 밀, 옥수수, 콩 등의 품종을 먹고 있다. 농업은 경관도 변화시켰다. 수천 년에 걸쳐 인구가 늘면서 숲을 없애고 태워서 농지를 만들었다. 지속성 없는 농업으로 인한 극심한 파괴로 농경지를 잃어가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산림파괴가 최근들어 더욱 가속화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더 많은 땅을 농지화하는 것만이 미래의 적절한 식량공급을 위한 길은 아니다. 식물다양성은 새로운 작물을 개발하고 이미 있는 작물을 향상시킬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새로운 일부 작물들은 사람들이 각 지역에서 모아서 이용한 영양가 있는 과일, 견과류, 곡물과 같은 수백 가지 종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아프리카 내의 잠재력이 있는 식량원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풍토에 적응시켜 지역적 생산에 적합할 만한 수십가지 야생 식물들을 밝혀냈다. 기대되는 후보감으로는 그 이름도 흥미로운 초콜릿 베리, 진저브레드 자두, 몽키 오렌지 등이 있다. 게다가 일부 지역에서는 고유한 풍토 특히 쓸모없었던 가장자리 농경지에 토착화하거나 부분적으로 적응되어 생산성 증가의 기능성을 보이는 작물을 갖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아프리카 곡류는 고온과 가뭄을 견디며 많은 종류의 비옥하지 않은 토양에서도 다른 경작지의 곡류보다도 더 잘 자란다. 한 가지 종은 연간 강우량이 70mm 미만의 모래언덕에서 자랄 만큼 강하다. 이상적이지 못한 조건에서 견디도록 작물을 변형시키는 방법에는 전통적인 육종법이나 생명공학이 있다. 염분이 있는 토양에서 자랄 수 있게 하거나, 병충해에 저항하게 하거나, 고온과 가뭄을 견딜 수 있게 하는 식물의 유전자는 유용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유전자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모든 작물용 식물은 원래 야생 조상종으로부터 유래했다. 그 조상종과 그들에 가까운 종들은 현존하는 작물을 뒷받침해주는 데에 사용될 유전적 다양성의 풍부한 원천이다.
작물의 다양화를 위한 이 두가지 접근은 서식지 파괴로 인해 자연상의 식물다양성이 계속해서 줄어들면서 위태롭게 되었다. 농지를 만들기 위한 개벌 외에도 벌목, 광석채굴, 공기오염 등으로 인해 삼림이 손실되고 있다. 커다란 농지에 난 도로로 인해 조각난 땅에서는 식물종을 제대로 기르기가 어렵다. 그 결과로 토착화될 잠재력이 있는 종이 소실되고 있다. 작물종과 연관성이 있는 여러 야생종과 가치를 헤아릴 수 없는 유전적 다양성의 풀(pool)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소실은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면서 우리 종의 미래에 미칠 영향의 한 가지 예일 뿐이다. 이 문제와 가능한 해결에 대해서는 보전생물학을 좀더 면밀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100년 이상에 거쳐서 인구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왔다. 우리는 먹잇감을 잡고 생산하는 일, 그리고 도시를 건설하는 데에 효율적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산업화된 국가에서 사람들은 음식과 거처에 대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것 이상으로 자원을 소비한다. 그로므로 생물다양성의 감소가 대부분 인간 활동 때문이란 점을 알게 된 것도 놀랄 일이 아니다.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주요 인자들에는 서식지의 소실, 침입종, 지나친 포획, 오염과 지구의 기후변화 등이 있다.
많은 과학자에 의하면 지구 온난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지구 기후의 변화가 생물다양성 감소와 가장 큰 원인이 될 것이라고 한다.
'생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절제하게 자라는 암세포는 악성종양을 유발한다. (0) | 2022.05.16 |
---|---|
인간행동은 유전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의 결과물이다. (0) | 2022.05.15 |
대량멸종이 일어나는 동안 많은 생물종이 파괴되었다. (0) | 2022.05.15 |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과학적인 증거가 매우 많다. (0) | 2022.05.15 |
생활양식을 바꾸면 암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0) | 2022.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