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공학

아이작 뉴턴은 누구인가?

by 건강한집수니 2022. 9. 21.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였던 아이작 뉴턴은 역사상 뛰어난 천재들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는 1665년 페스트로 학교가 문을 닫자 케임브리지 대학을 떠나 자기 집 농장에서 일을 했다. 이후 2년간 수학과 과학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는데 여기에는 미적분학과 운동법칙 그리고 만유인력의 법칙이 포함된다. 1667년에 케임브리지 대학으로 돌아간 뉴턴은 마침내 루카스 교수직을 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광학의 기초를 세우고 새로운 종류의 망원경을 고안했다. 1687년에는 지인인 에드먼드 핼리의 격려와 재정적 도움을 받아 '프린키피아'를 출간한다. 그 후 영국 의회에 자리를 얻은 그는 조폐국의 책임자로 있으면서 동전 가장자리에 톱리 모양을 새겨 넣는 방법을 고안하여 사람들이 동전을 깎아내지 못하도록 막았다. 1705년에는 기사 작위를 받았는데, 이는 과학자로서는 처음 누리는 영예였다. 그는 당시 학술적 권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영국 왕립협회장에 선출되기도 했다. 아이작 뉴턴 경은 1727년 3월 31일, 영국 런던에서 사망했다.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이란 무엇인가? 

뉴턴의 운동 제1법칙에 의하면 '모든 물체는 그것에 힘이 가해져서 현재의 상태를 변화시키려 하지 않는 한, 정지 상태 또는 직선상의 등속운동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 '관성의 법칙' 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법칙은 쉽게 말해 물체를 밀거나 당기지 않는 한, 물체는 계속 정지 상태로 머물러 있거나 직선상의 운동을 계속 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다. 이 법칙은 선운동량의 보존이라 불리는 운동의 기본 성질을 말로 표현한 것이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물체의 운동량은 물체의 속도와 질량의 곱으로 정의된다. 

 

뉴턴의 운동 제2법칙이란 무엇인가?

뉴턴의 운동 제2법칙에 의하면, '운동의 변화는 가해진 힘에 비례하고, 가해진 힘의 방향을 따른다' 이 법칙은 또한 '힘의 법칙'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물체에 작용한 힘을 물체의 운동량의 변화량으로 정의한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물체에 작용한 힘은 물체의 질량에 가속도를 곱한 값이 된다. 

 

뉴턴의 운동 제3법칙이란 무엇인가?

뉴턴의 운동 제3법칙에 의하면, '모든 작용에는 항상 반대로 작용하는 같은 크기의 반작용이 있다.' 다시 말해 '물체의 서로에 대한 상호작용은 크기가 같고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이는 물체에 힘을 가하면 같은 강도의 힘을 반대 방향으로 받는다는 뜻이다. 이 법칙은 예를 들어, 왜 빙판 위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밀면 먼 사람도 반대쪽으로 밀리게 되는지를 설명해준다. 

 

뉴턴의 중력의 법칙이란 무엇인가?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하면, 우주의 모든 물체는 다른 물체에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임의의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이 힘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다른 말로 하면, 중력은 '역제곱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역제곱의 법칙은 우주에서의 중력의 크기와 빛의 공간에서의 빛의 전파를 지배하느 ㄴ수학적 관계식이다. 

 

뉴턴의 중력 법칙이 천문학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태양계 안의 천체들이 수학적으로 예측 가능한 규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케플러의 세 가지 행성 운동의 법칙이 왜 옳은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천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에드먼드 핼리는 이 법칙을 이용하여 잘 알려진 혜성의 궤도 주기를 76년으로 예측했다. 이로써 뉴턴의 법칙은 천문학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고, 미신과 무지에서 과학과 지식으로 마지막 탈바꿈을 하게 했다. 

댓글